대학과 기업의 문제점과 어려움
공학교육의 문제점
- 1. 국내 대학의 양적인 측면은 세계 최고의 수준이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산업현장과 괴리한 인력양성
인력수급의 mismatch
- 2. 산업체 수요반영 미흡 및 현장경험 부족 등으로 대학졸업 시 실업자 양산이라는 부정적 등식 초래
청년실업의 사회 문제화
- 3. 최근학생들의 산업현장에 대한 이해 및 경험부족 발생
진로설정의 어려움
기업에서의 문제점
- 1. 신입사원의 현장에 대한 이해 및 실무능력 부족으로 재교육에 과다한 시간 및 비용 소요
(평균 6,088만원, 19.5개월) - 2. 기업에는 짧은 시간의 면접 및 시험을 통한 신입사원 선발로 신입사원에 대한 검증의 어려움 발생
- 3. 첫 직장 취업 후 4년 이내에 직장을 그만두는 비율이 60%로 나타남
(1년 이내 47.3%, 2년 이내 75.4%, 한국고용정보원 2012.1 자료)
단기현장실습의 문제점
- 1. 산업체 입장에서는 업무OJT기간에 해당하는 시간이어서 실습생을 실제업무에 투입하기가 어려움
- 2. 대부분 단기현장실습 기간 동안 실습생은 단순 업무에 투입되어 학생과 기업체 모두 만족도가 높지 않음
IPP 필요성
- 산업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산업과 밀접한 이론 및 실습과정의 조화가 필요
-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실무형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협력 교육 강화가 필요
- 고용의 질을 높이고 청년 취업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실정에 맞는 대학교육 혁신이 필요
- 산한연계 교육을 통한 학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및 기업/학생/대학 모두가 Win Win 할 수 있는 교육모델 구축 필요